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 선물거래 기초편

비트코인 선물거래 필수개념, 주문유형 정리 (market,limit,stop limit 등등)

 

필수정독 글 : 비트코인 선물거래는 절대 도박이 아니며, 돈버는 방법이 존재한다! (수익률 인증)

(비트코인 선물거래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시작하기 전에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기초편 목차

  • 비트코인 선물거래의 개념
  • 선물거래에 필요한 개념정리
  • 선물거래 시작하는 방법
  • 선물거래에 적용가능한 분석방법 - 실전 예시 포함

안녕하세요 레츠코인에 레코입니다. 오늘은 비트코인 선물거래를 위한 기초편 중에 '비트코인 선물거래 필수개념, 주문유형 정리' 편입니다. 먼저 비트코인 선물거래에서 주문이란, 내가 어떠한 가격이나 조건에서 비트코인 롱 또는 숏 포지션에 진입하겠다! 라고 거래소에 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롱, 숏 포지션에 등 비트코인 선물거래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하세요.)

 

비트코인 선물거래는 24시간 연중무휴 진행되기 때문에 내가 원하는 타이밍에 원하는 포지션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수 주문유형에 대해 숙지하시고 활용하셔야 합니다. 그래야만 24시간 내내 차트를 보지 않아도 되며, 내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타이밍에 포지션 진입이 가능해집니다.

 

아래 내용들을 반드시 숙지하셔야 합니다! ( 이해가 안가시거나 추가적인 궁금증이 있으신 분은 댓글 남겨주세요! )

 

<예시 기준>

비트코인 선물거래

거래소 : 모든 국가의 모든 거래소 동일

현재 가격 : 30,000 달러라고 가정

 

 

먼저 선물거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TP/SL 시스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TP / SL 시스템]

TP는 Take Profit의 약자, SL는 Stop Loss의 약자입니다. 각각 수익을 보겠다(Take Profit), 손해를 멈춘다 (Stop Loss) 라는 의미입니다. TP던 SL이던 결국에는 '비트코인이 특정가격에 도달하면 포지션을 정리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30,000달러인 상황에서 롱 포지션(상세 설명은 링크 클릭)에 진입했을때, 가격이 29,500 달러까지 떨어지면 포지션을 종료한다면 SL을 29,500으로 설정해두면 되는 방식입니다. (아래는 예시 이미지, TP도 아래 SL 설명 이미지와 동일한 원리)

 

[핵심 주문유형 List]

많은 주문유형이 있지만, 아래 내용들만 정확히 숙지하시면 거래하는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 market (시장가) 주문
  • limit (지정가) 주문
  • stop (예약) 주문

 

 

[market (시장가) 주문]

개념 : 

먼저 market (시장가) 주문은 가장 간단합니다. '현재 시장가격으로 진입하겠다.' 라는 의미의 주문입니다. 현재 비트코인이 30,000달러인 상황에서 주문유형을 market으로 지정해두고 Long 포지션 주문을 하게되면, 가격에 상관없이 해당 주문을 거래소에서 처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Long 포지션에 진입하게 됩니다. 해당 주문 방식은 포지션 진입확률이 100%이며 즉각적이지만, 가격변동이 극심한 상황에서는 독이 될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나는 분명 30,000달러인 상황에서 market (시장가), Long 포지션 진입 주문을 했지만, 거래소가 해당 주문서를 받은 상황에서는 30,600 달러이던 29,400 달러이던 'Long 포지션 진입' 이라는 주문서 내용을 처리해버립니다. (아래 예시 이미지 참고)

 

활용방안 : 

따라서 market(시장가) 주문은 사용해야할 상황보다는 가격변동이 극심한 상황, 거래소에 과도한 이용자가 몰려 버벅거리는 등의 서버 딜레이 현상이 발생하는 상황 등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Limit (지정가) 주문]

개념 : 

Limit (지정가) 주문은 개념적으로 가장 쉽습니다. 현재 가격이 어떻던지, 현재 시장의 변동성이 어떻던지와는 관련없이 '내가 원하는 가격에 원하는 포지션으로 진입하겠다.' 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서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30,000달러인데, 나는 무조건 29,000달러일때 롱 포지션에 진입하겠다! 라고 한다면, Limit (지정가) 유형, 가격은 29,000달러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내가 지정한 정확한 가격까지 도달하지 않는다면,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좋은 포지션 진입 기회가 날아가버릴수도 있습니다. 나는 29,000달러에 Long 포지션을 Limit 주문으로 걸어뒀는데, 29,001 달러를 찍고 다시 상승을 시작했다면.. 그날은 배아파서 잠못자는 날이 됩니다 ^^ (아래 예시 이미지 참고)

 

활용방안 : 

만약 내가 29,000달러에 롱 포지션 진입을 노리고 있다면 29,000달러보다 몇 달러 더 높게 지정하시는걸 추천합니다. 특히 1,000달러나 10,000달러 단위의 가격은 상징성이 있어서 포지션 진입을 시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몇 달러 차이로 좋은 포지션 진입 기회를 놓치면 배가 많이 아픕니다.

 

[stop (예약) 주문]

개념 : 

stop (예약) 주문에는 stop limit과 stop market 두 가지가 있는데, 개념은 동일합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내가 원하는 가격에 도달하면, 특정 주문 (limit 또는 market)을 제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비트코인이 현재 30,000달러인데 30,500 달러만 넘으면 31,000달러까지는 확실히 상승하겠다~ 라고 분석하였고, 30,500달러에 도달하면 시장가격으로 Long 포지션에 진입하려고 한다면 ,, 주문유형은 stop market으로, Stop 가격은 30,500 달러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서 31,000달러까지는 확실히 상승하지만, 그 이후에는 다시 떨어질 가능성도 많아 31,000에 수익을 보고 포지션을 종료하려고 한다면 위에서 배웠던 TP (Take Profit)을 31,000에 설정하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비트코인 가격이 30,500 달러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market (시장가) 주문이 들어가게 되며, 31,000달러가 된다면 또 자동으로 포지션이 종료되게 됩니다.

 

stop limit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이 30,000달러인데, stop 가격을 29,500달러, Limit 가격을 29,000달러로 맞춰놓고 Long 포지션 주문을 제출한다고 가정해봅니다. 그럼 비트코인 가격이 29,500달러에 도달하면 29,000 달러에 Long 포지션을 진입하라는 Limit 주문이 자동 제출되며, 실제 비트코인이 29,000달러에 도달하면 나는 Long 포지션에 진입할 수 있게 됩니다.

활용방안 : 

비트코인 가격의 방향성이 잘 보이지 않고 횡보하는 장에서 특정 가격대를 뚫으면 강한 방향성이 나올거라 판단하지만, 그 시기가 언제인지는 정확히 모를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비트코인이 29,500 ~ 30,000 달러 사이에서 횡보중인데, 30,000달러를 뚫고 올라가면 강한 상승장이 나올것이다~ 라고 판단한다면 stop 가격을 (30,000달러)로 지정하고 본인의 분석에 맞게 market(시장가) 주문이나 limit(지정가) 주문을 걸어두면 됩니다.

 


이렇게 오늘은 비트코인 선물거래에 필요한 핵심 주문유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른 주문유형들은 몰라도 오늘 정리했던 market(시장가), limit(지정가), stop(예약)은 반드시 알아두셔야 합니다. 해당 주문유형은 국가와 거래소를 막론하고 동일합니다! 글을 읽으시고 피드백 및 질문 환영입니다!

 

다음편 : 선물거래 시작방법 (2023.10.21 업로드 예정)